안전한 3D 프린터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,
3D융합산업협회에서 제작한 [3D프린터 이용 10대 안전수칙]을 게시합니다.
3D프린팅 작업 중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초미세입자가 방출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. * 산업안전보건연구원(2019), "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소재의 종류 및 유해물질 특성 연구" * NIOSH(2017), "Evaluation of 3-D Printer Emissions and Personal Exposures at a Manufacturing Workplace" 소재 및 장비 별로 작동시 방출되는 유해물질의 종류와 양의 차이는 있으나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벤젠, 아크로레인, 포름알데히드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안전한 이용방법을 준수하기 바랍니다. 3D프린팅 이용 10대 안전수칙 QR코드 QR코드를 찍으시면 "3D프린팅 안전이용 동영상"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*3D프린팅 안전 가이드라인(https://www.3dbank.or.kr) *3D프린팅 안전교육(http://3d.acastar.co.kr) 3D프린팅 작업 중 1 작업공간 환기하기 (3D프린팅 작업 전·중·후) 2 보호장비 착용하기(마스크, 장갑 등) 3 3D프린팅 작업 중 가급적 작업공간에 머무르지 않기 3D프린팅 작업 후 4 별도 공간에서 후처리하기 5 후처리 공간도 작업 전·후 환기하기 안전정보 확인하기 6 3D프린팅 안전교육 이수하기 7 소재 사용 전 물질안전보건자료 확인하기 8 환기가 잘 되는 곳에 프린터 설치하기 안전한 3D프린터와 소재 사용 9 밀폐형 3D프린터 사용하기 ※ 미폐형 3D프린터란 상자에 둘러싸여 있어 구동 시 주 작동 장치가 상자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3D프린터 10 친환경 소재 사용하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